울산남구는 신라의 제56대이자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에 관한 전설이 내려오는 곳입니다.
신라가 후백제와 고려의 압력으로 존망의 위기에 있을 때
문수보살의 계시로 나라의 장래를 결정하기 위해
무거·삼호동으로 내려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무거동과 삼호동은
이 기록을 바탕으로 한 지명이기도 합니다.
울산남구에는 이 지명유래전설을 바탕으로
만든 조형물들이 있는데요
총 3점으로, 차례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조형물들은
삼호공원, 별빛공원, 헐수정공원
세 곳에 각각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번에는 삼호공원에 이어
별빛공원으로 가보겠습니다.
별빛공원 내에 있는 조형물입니다.
글은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유래에 대해 적혀있습니다.
무거(無去)
울산 남구의 삼호동, 무거동과 헐수정 부락은 인근한 범서읍 굴화와 함께 신라 천년의 흥망성쇠를 나타내는 유서 깊은 곳이다. 즉 굴화는 신라 5대 파사왕 대에 울산 최초로 현치를 둠으로써 신라의 번성을 이끈 곳이고, 삼호와 무거와 헐수정은 신라 패망을 암시한 지명 전설을 간직한 곳이다.
이 세 곳(삼호, 무거, 헐수정)에 얽힌 전설은 이러하다.
신라의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은 망해가는 신라를 바로 세우기 위하여 문수보살을 모셔다가 국가적인 재를 올리기로 하고 훌륭한 스님을 찾으러 전국에 걸쳐 신하들을 보내었으나 아무도 찾지 못하였다. 그 중 한 신하가 "울산 문수산 아래의 작은 절에 한 스님이 있는데 행색이 너무 초라하여 모셔오지 못하였다"고 아뢰었는데 며칠이 지나도 다른 스님을 못 구하자 부득이 이 스님을 모셔다가 재를 올렸다. 행사를 마치고 스님이 돌아갈 때에 왕이 "스님, 제발 나라의 재를 주관했다는 말을 다른 데에 가서 말하지 말아주세요." 하고 부탁하자, 그 스님도 "예, 그러하지요. 그 대신 임금님도 문수보살을 모셔다가 재를 올렸다는 말을 아무데서도 하지 말아 주십시오." 하고는 가버렸다. 그제야 그 스님이 문수보살의 화신임을 깨달은 왕이 신하들을 거느리고 말을 달려 쫓아갔는데 태화강을 건너자 도저히 쫓을 수가 없음을 알고,"문수보살님" "문수보살님"하고 세 번이나 불렀다고 하여 석 삼사와 부를 호자를 써서 '삼호'라는 지명이 생겼다고 한다.(*일설에는 이 부근의 태화강이 호수 처럼 잔잔한 곳이 셋 있어서 '삼호'라 한다고 함. 지금의 동명은 이를 근거로 한 것임)
이때 한 동자승이 나타나 길을 안내하므로 다시 더 따라가다가 지금의 울산대학교 운동장쯤에 이르러보니 동자승조차 간 곳이 없어져서 그 사라진 쪽(지금의 울산과학대 정문 주변)을 '무거'라 불렀으며,
경순왕이 "헐(할)수 없구나, 나라를 붙잡을 수가 없구나!" 탄식하며 머무른 곳이 '헐수정'이 되었다고 전한다.
참고문헌 : 울산남구지명사(2009), 울산광역시사(2002), 울산지명사(1986)
2018년 3월
울산광역시 남구청
무거라는 지명은
길안내를 하던 동자승조차
간곳없이 사라졌다 하여 지어진 지명입니다.
과연 동자승은 누구였을까요..?
조형물은 석재조형물로
경순왕의 이미지
지명유래 글,
동자승의 실루엣이 특징입니다.
동자승이 사라진 곳을 허망하게
바라보고 있는 경순왕의 모습이
돌에 새겨져 있습니다.
삼호의 스님실루엣과 마찬가지로
동자승 또한 실루엣으로 표현하여
사라진 동자승 흔적을 나타내었습니다.
조명이 설치되어 있어
밤에도 관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무거동의 지명유래가 담긴 조형물이었습니다.
다음에는 헐수정의 유래를 알려주는
조형물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https://northeastwind.tistory.com/199
경순왕.. 문수보살을 외치다. (울산남구의 전설을 찾아서1- 삼호공원)
울산남구는 신라의 제56대이자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에 관한 전설이내려오는 곳입니다.신라가 후백제와 고려의 압력으로 존망의 위기에 있을 때 문수보살의 계시로 나라의 장래를 결정하기 위
northeastwind.tistory.com
https://northeastwind.tistory.com/201
경순왕...헐 수 없구나 탄식하다. (울산남구의 전설을 찾아서3 - 헐수정공원)
울산남구는 신라의 제56대이자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에 관한 전설이 내려오는 곳입니다.신라가 후백제와 고려의 압력으로 존망의 위기에 있을 때문수보살의 계시로 나라의 장래를 결정하기 위
northeastwind.tistory.com
'조형물, 탑, 명비 > 시비,노래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순왕...헐 수 없구나 탄식하다. (울산남구의 전설을 찾아서3 - 헐수정공원) (0) | 2025.01.23 |
---|---|
경순왕.. 문수보살을 외치다. (울산남구의 전설을 찾아서1- 삼호공원) (0) | 2025.01.08 |
섬 주민의 애환을 노래에 담았던 조미미 선생님 노래비🎵 (1) | 2023.02.19 |
법성포에 어서오세요🐟 법성포 스토리월 (0) | 2023.02.12 |
안중근 의사 유묵과 시비석 (경기도 부천시 안중근공원) (4) | 2022.11.19 |